
1. kakao developers(카카오 개발자)에 계정을 생성해주세요. (기존 카카오 계정을 사용하셔도 됩니다) 바로가기 2. 애플리케이션 추가하기 상단 메뉴 "내 애플리케이션" 을 눌러 애플리케이션 추가를 진행해주세요. 앱 이름과, 사업자명을 입력해주세요. 3. 카카오링크 > 메시지 템플릿 빌더 바로가기를 눌러주세요 4. 원하는 모양의 템플릿을 선택해주세요. 저는 일반적인 FEED로 진행해보겠습니다. 5. 템플릿 설명을 입력하고, 이것저것 원하는 모양을 만들어 나갑니다. 왼쪽에 미리보기를 보면서 이미지나 제목/설명을 입력해주세요. (중간중간 저장하는 센스😁😁) 6. 기타 > 출처링크 설정은 링크 클릭시 연결될 주소를 입력하는 부분입니다. 앱설정 > 플랫폼에 들어가서 web 플랫폼 등록을 진행합니다...

유유자적하게 모바일 사이트를 만들던 도중 테스트하려고 아이패드로 접속했더니 safari가 PC로 인식되어 데스크탑 모드를 보여주고 있었다....... 사이트 문제인줄 알고 chrome으로 접속했더니 잘 나오는걸 확인, user agent값을 보니 Macintosh로 찍히고 있었다... 😑(애플 때리고싶다...) 원래 구분값은 중간에 iPad라는 단어가 있어 찾아서 mobile모드로 돌려주면 되는데, 아니 왜.......... 왜... 왜...! (숙연) 어찌저찌 이것저것 아이패드와 pc를 구분시키는 방법을 찾다보니 navigator.maxTouchPoints 속성을 사용하는 것으로 결정 현재 장치에서 지원하는 동시 터치 접점의 최대 수를 반환하면, 모바일은 당연히 터치가 가능한 기기니까 1이상의 값을 가..

1. fullcalendar 다운로드 + 연결 이곳에서 다운받기 - fullcalendar.min.css - fullcalendar.min.js - moment.min.js (날짜 작업을 위한 js 라이브러리) - gcal.js (구글 캘린더 자바스크립트) 2-1. 구글 캘린더 > ⚙️설정 > 내 캘린더의 설정 > 해당 캘린더 선택 - 캘린더 ID 확인 * 엑세스 권한을 꼭 공개 사용 설정으로 해주세요! 2-2. 구글 API에서 새 프로젝트 생성 2-3. 라이브러리 > Google Calendar API 사용 선택 2-4. 사용자 인증 정보 > ➕ 사용자 인증 정보 만들기 > API 키 선택 인증키 생성 완료 3. 코드 삽입 - googleCalendarApiKey : (2-4)에서 생성받은 KEY 입력..